세계일보

검색

[증권업계 저실적·고연봉③] '책임경영·경제정의' 실종

입력 : 2017-04-05 16:58:12 수정 : 2017-04-05 16:58:1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증권사 직원 1인당 순익 규모 평균 연봉에 못미처
실적 따라 철저하게 연봉 정해지는 풍토 조성해야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수익성 악화에도 정해진 연봉을 매년 꼬박꼬박 챙겨가는 증권업계 경영진들의 방만경영이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일한 만큼 받아가는 경제정의 원칙에 위배될 뿐더러 주주가치 제고에 중심을 둔  '책임 경영'과도 동떨어져있다. 더욱이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에게 사회적 박탈감과 위화감을 주기에 충분하다.  이에 따라 경영진의 급여를 보장해주는 현행 관행과 이를 감시해야 할 이사회의 내식구 감싸안기 문제 등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저성과에도 고연봉을 보장하는 업계 풍토를 바꾸기 위해선 위로부터, 더 나아가 구성원들의 뼈를 깎는 고통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편집자주>

작년 국내 전체 증권사 직원 1인이 거둔 순이익 규모는 대부분 자신들의 연봉 수준에 못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세계파이낸스가 조사한 결과, 국내 53개 증권사의 작년 순이익 규모(2조1338억원)를 전체 직원수(3만5699명)로 나눈 수치는 5977만원으로 직원들의 평균 연봉에 크게 못미쳤다.

이같은 낮은 생산성에도 최고경영자(CEO)들은 많게는 30억원에 가까운 연봉을 수령하고 직원들도 평균 8000만원에서 많게는1억원에 가까운 연봉을 받아갔다. 2013년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금융산업의 임금은 2.03배로, 미국(1.01배)이나 일본(1.46배) 보다 높은 수준이다.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씨티그룹 등 전세계 5대 투자은행들의 CEO 포함 평균 연봉이 1억4000만원 수준이라는 것과 비교해 과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일례로 세계 최대 상업은행인 씨티그룹의 작년 순이익은 149억달러(16조7000억원)로 우리나라 53개 전체 증권사 순이익 규모(2조1338억원)의 8배나 됐다. 과거 금융위기 이후 천문학적인 금액을 받던 글로벌 투자은행 CEO들에 대한 연봉 상한선이 실행되고 철저하게 성과에 기반해 급여가 지급되면서 매년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국내 증권사 CEO들은 급여 자체가 많지 않지만 퇴직금과 성과급이라는 명목하에 수십억원의 연봉을 받아가고 있다. 

특히 실적에 따라 철저하게 연봉이 정해지는 외국 기업과 비교할 때 판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애플은 지난해 15년 만에 매출과 순이익이 줄자 팀 쿡 CEO와 경영진 6명의 연봉을 삭감했다. 야후의 마리사 메이어 CEO는 2013년과 2014년에 발생한 해킹에 대한 책임을 지고 현금과 주식 보너스를 포함 총 200만달러를 반납하기도 했다. 로이드 블랭크페인 골드만삭스 CEO는 작년 수익감소와 구조조정에 대한 책임을 지고 연봉을 자진해서 삭감했다.

현대차는 작년 실적 감소에 따른 임원 임금 10% 반납에 따라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의 보수가 감소했다. 현대차는 직원들의 연봉도 동결됐다. 한진중공업 조남호 회장은 작년 보수로 7억4500만원이 책정됐지만, 경영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전액 반납했다. 경영위기에 처한 조선·중공업계에서는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연봉 삭감과 반납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작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34% 급감한 증권업계의 경우 이같은 위기 의식은 부족한 듯 보인다. 일부 증권사의 경우 '위기 경영'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행에 옮기는 것은 대부분 '인력 구조조정'이다. 즉 경영진들은 책임을 지지 않고 아래 직원들에게만 책임을 전가하고 있는 셈이다.

증권 및 금융업계의 저성과·고연봉 풍토는 국민적 위화감과 상실감만 키우고 있다.

국회 입법조사처의 조대형 입법조사관이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토대로 분석한 '금융산업의 경제기여도 현황 및 과제'를 보면 한국경제의 총산출액 대비 금융산업의 산출 비중은 2007년 4.7%에서 2014년 4.0%로 감소했다. 이는 금융업이 국내총생산(GDP)에 기여하는 부분이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생산성이 낮은 금융업종에 인재 쏠림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생산성이  높은 분야로 인재유입이 중단될 경우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사회 구성원들의 소득 격차가 심해질 경우 사회로부터의 신뢰를 잃어가게 되고 생산성 또한 더 추락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영일 기자 jyi78@segye.com

<세계파이낸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트리플에스 지우 '매력적인 눈빛'
  • 트리플에스 지우 '매력적인 눈빛'
  • (여자)이이들 미연 '순백의 여신'
  • 전소니 '따뜻한 미소'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